본문 바로가기
재테크 정보

LK-99 초전도체의 원리 및 관련주 간단 정리

by 붐데야다 2023. 8. 3.

초전도체가 연일 뜨거운 관심의 대상이 되고 있습니다. 초전도체는 인류 문명을 한 단계 올릴 수 있는 꿈의 물질인데요. 국내 연구소가 LK-99라고 이름 붙인 초전도체를 통해 그동안 극저온에서만 가능하던 초전도 현상을 상온에서 구현해 냈다는 논문을 발표해 화제가 되고 있습니다.

 

 

이번 글에서는 초전도체의 개념 및 원리, 상온의 의미, 초전도체의 활용 분야 및 덩달아 뜨거워지고 있는 초전도체 관련주에 대해 정리해 보도록 하겠습니다. 

 

 

 초전도체 - 원리, 활용 및 초전도 현상

(1) 초전도체의 원리와 활용 분야

초전도체(superconductor)란 간단히 말해서 전기 저항이 0인 물질을 말합니다. 따라서 전자기기를 작동할 때 생기는 마찰이 없어지기 때문에 전력 손실 및 발열이 없는 세상을 만들 수 있고, 자기 부상열차, 양자 컴퓨터 등의 기술도 상용화될 수 있게 됩니다.

 

영화 아바타에 등장하는 공중에 둥둥 떠다니는 바위섬 같이 물체를 공중에 띄우는 것이 가능해집니다. 초전도체는 전기저항이 0인 상태에서 내부 자기장으로 인해 공중에 뜨는 특유의 마이스너(양자 부상) 효과가 있기 때문입니다.

 

초전도체-마이스너-효과
초전도체 마이스너 효과

 

또한 전기 저항이 0이라는 것은 마찰이 0이 된다는 것을 의미하고, 마찰이 0이라는 것은 발열이 0이 된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컴퓨터, 노트북, 핸드폰 등의 발열이 없어진다고 생각하면 이해하기 쉽습니다. 이를 통해 발열로 인해 한계를 지어놓았던 슈퍼 컴퓨터 등 모든 전자기기의 성능을 극대화시킬 수 있습니다.

 

현재 전기는 구리 등으로 만들어진 전선을 통해서 이동하는데요. 마찰로 인해서 전달될 때 잃는 전력손실률이 3.5%에 이른다고 합니다. 그 금액이 우리나라에서만 연간 1조 5천 억 원 수준이라고 하는데요. 초전도체가 활용된다면 전력효율이 극대화되어 낭비되는 비용을 0으로 만들 수 있습니다.

 

(2) 초전도 현상

이렇게 초전도체에 의해 전기저항이 0이 되는 현상을 초전도 현상이라고 하는데요. 초전도 현상을 구현하기 위해서는 특정 물체를 임계온도 이하로 냉각해야 합니다. 최초로 이 초전도 현상을 발견한 것은 1911년 네덜란드의 물리학자를 통해서였는데요. 엄청난 극저온인 절대온도 4K(-269℃)에서 발견했죠.

 

하지만 이러한 극저온 상태를 만들기 위해서는 엄청난 비용이 들기 때문에 상용화될 수 없었습니다. 이때 이후로 100년간 과학자들은 상온에서 이 현상을 구현하기 위해 노력해 왔는데 아직까지 성공한 적이 없었습니다. 

 

 

 

 LK-99  - 검증 및 전망

(1) LK-99란

그런데 우리나라의 연구진이 이 초전도체를 상온인 400K(127℃) 이하에서 구현해냈다는 논문을 발표한 것입니다. 상온에서 이 초전도 현상을 구현해 낼 수 있다면 비용이 획기적으로 줄어들기 때문에 실생활에의 적용이 먼 일이 아닌 게 됩니다.

 

고려대학교 산하 벤처 기업인 퀀텀에너지연구소에서 이 논문을 발표했는데요. LK-99는 1999년에 이석배 교수와 당시 대학원생이던 김지훈 박가 처음 개발했던 물질에서 이름을 따온 것입니다. 성의 영문 앞 자를 따고 물질을 발견한 1999년을 기념한 것이죠. 2008년에 바로 이 이석배 교수가 만든 회사가 퀀텀에너지연구소입니다.

 

(2) LK-99 검증 및 전망

발표한 논문에서 물질 재료와 제작 과정 등의 레시피 데이터를 공개했기 때문에 세계 각지의 연구소에서 이의 검증에 달려들고 있는데요. 아직 그대로 재현에 성공했다는 소식은 들려오고 있지 않습니다.

 

아무래도 회의적인 시각이 더 많습니다. 이 논문이 동료 평가를 거치지 않고 온라인에 사전 공개됐다는 점, 발표된 데이터와 재료가 초전도체를 구현하기에는 한계가 있다는 점 등이 이런 회의적 시각을 만들고 있습니다. 발표된 재료 중 납의 경우 독성을 어떻게 제거할 것인가의 문제, 황구리의 경우 불순물의 문제, 납과 인회석은 전기가 흐르지 않는 비전도성 광물이라는 점 등이 지적되고 있는데요.

 

일반인인 우리 입장에서는 이해하기 어려운 일이고, 우리나라를 비롯해 세계 유수 기관에서 검증 절차에 들어갔으므로 조금 더 기다려 봐야 하겠습니다. 

 

 

 초전도체 관련주

이 소식이 발표된 이후 초전도체 테마로 묶여 상한가를 달리는 종목들이 생기기 시작했는데요. 대표적인 것이 퀀텀에너지연구소 지분을 보유한 엘앤에스벤처캐피탈에 투자한 신성델타테크, 파워로직스, 한양이엔지 등입니다. 이외에도 서남, 서원, 대창, 국일신동, 인지디스플레 등이 초전도체 테마주로 묶인 듯 보입니다. 미국 나스닥에서도 이름에 초전도체가 붙어 있는 아메리칸 수퍼컨덕터(AMSC)가 큰 폭의 상승을 보이기도 했습니다.

 

퀀텀에너지연구소가 비상장 회사이기 때문에 이런 현상이 생기고 있는데요. 위에 언급된 종목들은 구체적인 관련성이 있다고 할 수도 없는 뜬구름 잡기식 테마주이기 때문에 매우 주의해야 합니다. 있지도 않은 관련성이 있다고 소문이 퍼지고 이를 듣고 달려든 많은 개미 투자자들이 큰 손실을 입었던 예가 아주 많습니다. 

 

또한 검증이 이루어져 기술이 인정받는다 해도 상용화까지는 아직 갈 길이 아주 멉니다. 당장 이 기술이 돈과 연결되기는 어렵다는 얘기입니다. 아직 너무 큰 관심을 갖기보다는 미래 핵심 기술 정도로 관심을 가지고 지켜보는 것이 현명할 것으로 생각됩니다.

 

이상 요즘 화제가 되고 있는 초전도체의 원리, 활용, 검증 및 관련주에 대해 정리해봤습니다. 어쨌든 꿈 같은 미래를 위해 오랜 기간 묵묵히 엄청난 노력을 기울이고 있는 우리 과학자들의 모습이 참 존경스럽다는 생각이 드네요. 꼭 초전도체 기술이 실현되는 날이 다가왔으면 좋겠다는 생각을 하며 글을 마무리하겠습니다.

 

< 관련 글 살펴보기 >

 

엔비디아 주가 AI 자율주행 관련주 분석 전망

AI 인공지능 관련주를 논할 때 최근 가장 많이 언급되는 주식 중의 하나가 엔비디아입니다. 엔비디아는 미국 나스닥에 상장되어 있는 기술주인데요. 지난해 종가가 146달러였는데 올해 3배 가까

alongwithmoney.tistory.com

☞  올해 2차 전지 산업의 급등 배경, 2차 전지 개념, 관련 ETF 정리

☞  TIGER 2차전지소재Fn ETF 분석

☞  KODEX 2차전지핵심소재10Fn ETF 분석

☞  SOL 2차전지소부장Fn ETF 분석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