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물병원 진료비 공개 서비스가 8월 3일부터 시작됐습니다. 그동안 진료비가 너무 많이 나온 것 같은데 어디 확인해 볼 데도 없고 답답했었죠? 이제는 지역별 진료비를 확인해 보고 내가 다니는 동물병원의 진료비와 비교해 볼 수 있게 되었습니다.
동물병원 진료비 공개 서비스는 정부(농림축산식품부)에서 실시하는 서비스이니 신뢰도 있는 정보입니다. 다만 구체적인 동물병원 하나하나의 진료비를 공개하는 것은 법에 위반되기 때문에 지역별 평균 진료비가 공개된다는 점 참조해 주세요.
동물병원 진료비 공개 항목
동물병원 진료비 공개 항목은 일반적으로 자주 이용하는 항목 위주로 구성되어 있는데요. 초진/재진비, 상담료, 입원비, 종합백신, 광견병백신, 켄넬코프백신, 인플루엔자백신, 전혈구검사비, 전혈구판독비, X-ray 검사비, X-ray 판독비입니다.
동물병원 평균 진료비 통계
동물병원의 진료비를 정부에서 자료를 취합하여 분석한 후 전국 평균 진료비를 도출하였는데요. 이를 우리 동네의 진료비와 비교해 보면 우리 동네의 진료비 수준이 높은지 낮은지 알 수 있습니다.
전국 동물병원의 초진비 평균은 1만 840원, 입원비 평균은 5만 541원, 종합백신 평균은 2만 5,992원, X-ray 평균은 3만 7,266원이네요.
단, 조사 결과 동물병원 진료비에 대한 별도 규정이 없기 때문에 병원별로 진료비 차이가 크게 난다고 합니다. 따라서 이 정도가 평균이다라는 점 정도만 알고 가면 되겠습니다. 평균보다 비용이 많이 높다면 이유를 물어볼 수 있겠죠.
서울 및 광역시의 경우에는 구 단위의 진료비를 확인해 볼 수 있고, 기타 지역은 시군구 단위로 진료비를 확인해 볼 수 있습니다. 진료비는 해당 시군구의 중간비용, 최저비용, 최고비용, 평균비용을 보여줍니다.
사진에서 보듯이 같은 구 안에서도 병원에 따라 초진 진찰료의 최저비용과 최고비용의 차이가 매우 크다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중간비용이 그 지역의 모든 동물병원 진료비를 순서대로 나열했을 때 딱 중간 위치에 있는 병원의 비용입니다.
강남구에서는 초진 진찰료가 11,000원이 넘는 곳과 넘지 않는 곳의 동물병원 수가 같다는 의미인데요. 예를 들어 초진 진찰료가 5,500원에서 11,000원 사이에 있는 동물병원의 수가 20개이면, 11,000에서 44,000원 사이에 있는 동물병원의 수도 20개라는 것입니다.
동물병원 진료비 공개 서비스 이용 방법
동물병원 진료비 공개 서비스는 아래 농립축산식품부의 진료비현황공개누리집에서 확인해 볼 수 있습니다.
1. 진료비 현황공개누리집에 접속한 후 화면 위쪽에서 개와 고양이 중 자신의 반려 동물을 선택해 주세요.
2. 왼쪽 진료비 공개 항목 중 알아보고 싶은 항목을 선택합니다.
3, '알고 싶은 지역'에서 자신의 시도와 시군구를 선택하면 됩니다. 아래의 전국 지도에서 클릭을 해도 됩니다.
기본적으로 인근 지역의 진료비 평균까지 다 보여주기 때문에 가까운 지역의 진료비가 더 저렴하다면 그곳을 이용할 수도 있겠죠. 하지만 이런 용도보다는 본인이 동물병원에서 과잉청구를 받은 것은 아닌지를 확인하는 용도로 유용할 듯합니다.
내가 다니던 곳의 비용이 평균보다 과하게 높다면 이유를 물어보거나 보다 합리적인 비용의 병원을 찾아서 옮길 수 있는 하나의 기준을 알게 되었다고 보면 되겠습니다.
이상 새로 도입된 동물병원 진료비 공개 서비스에 대해서 알아봤습니다. 진료비를 확인한 후 합리적으로 진료비를 책정하고 있는 동물병원을 찾아 반려동물의 건강을 지켜주시기 바랍니다.
< 같이 보면 좋은 글 >
'국가 지원금 정책' 카테고리의 다른 글
자리톡 월세환급 받기 - 최대 17%, 127.5만 원 월세 세액공제 (0) | 2023.08.28 |
---|---|
반려동물 등록 10월부터 집중단속 실시 (0) | 2023.08.14 |
영유아 검진 시기 조회 및 검진 항목, 문진표 (0) | 2023.07.25 |
청년도약계좌 신청기간, 소득기준, 금리 비교 (0) | 2023.07.23 |
국민연금 출산 크레딧이란 - 제도, 자격, 신청 방법 총정리 (0) | 2023.07.22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