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국가 지원금 정책

2023 전기차 보조금 기준 및 현황 정리

by 붐데야다 2023. 7. 16.

2023-전기차-보조금-기준-현황-정리

2023년 들어서도 전기차의 인기는 식을 줄 모르고 있습니다. 전기차 대표 제조사인 테슬라는 작년 한 해 전기차를 100만 대가 넘게 팔기도 하였습니다. 친환경 차이기 때문에 전기차 구매 시 보조금이 지급된다는 사실을 다들 알고 계실 것입니다. 가격도 할인받고 환경에도 기여하고 일석이조가 아닐 수 없습니다.

 

전기차 보조금은 국가 보조금과 지자체 보조금이 합쳐져서 결정되기 때문에 조금은 복잡할 수 있는데요. 이 글에서는 2023년 우리나라에서 받을 수 있는 전기차(전기 승용차) 보조금의 기준과 현황에 대해 정리해 보도록 하겠습니다. 

 

 

 

 2023 전기차 국가 보조금 지급 기준

전기차 국비 보조금은 환경부가 차량의 연비, 주행거리, 출고가, 제조사 정비센터 유무 등을 고려해 차종별로 금액을 산정합니다. 우선 출고가를 기준으로 전체적인 틀을 잡고, 전기차 성능 및 1회 충전 주행거리 등을 검토하여 보조금을 일정 비율 감액하게 됩니다. 여기에 충전인프라 보조금 등의 인센티브를 합쳐 최종 보조금 지급액이 결정됩니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차량 가격이 5,700만 원 미만이면 보조금이 100% 책정됩니다. 보조금 지원 상한선은 차량 가격 8,500만 원으로 이 가격을 넘는 차량에는 보조금이 지급되지 않습니다. 5,700만 원 이상 8,500만 원 이하인 차량에는 50%의 보조금이 책정됩니다. 

 

이에 따라 대형, 중형 차량은 최대 받을 수 있는 금액이 680만 원, 소형 차량580만 원입니다. 이는 보조금을 100% 받는 상태에서 어떤 감액도 없는 경우입니다. 따라서 차량별로 보조금 지급액이 다르기 때문에 자신이 구매하려는 차량을 특정하여 보조금 지급액을 확인해 보시기 바랍니다. 같은 모델이라도 옵션에 따라 보조금이 차이나기도 하니 면밀히 확인해야 합니다.

☞ 내 전기차 보조금 지급액 확인하기

 

 

 2023 전기차 지자체 보조금 지급 기준 및 현황

전기차 지자체 보조금은 지자체별로 각기 다릅니다. 따라서 자신이 보조금을 신청할 지자체에서 제공하는 보조금을 알고 있어야 합니다. 여기서 지자체 보조금의 책정 기준이 되는 것은 국가 보조금의 비율입니다.

 

즉, 내가 선택한 차량에 국가 보조금의 100%가 책정되었다면 지자체 보조금도 100%가 책정되고, 내 차량에 국가 보조금의 50%가 책정되었다면 지자체 보조금도 50%가 책정됩니다. 물론 서울시와 같이 최대 금액이 180만 원에 그치는 경우에는 국가 보조금이 100%인 680만 원이라도 지자체 보조금은 180만 원에 그치게 됩니다.

 

각 지자체 별 보조금 지급 범위는 아래 표와 같습니다. 경기도, 전라남도, 경상남북도는 산하의 시별로 지급되는 보조금에 차이가 있습니다. 따라서 이 지역 거주자는 시청 홈페이지에 접속하여 '전기차 보조금'을 검색하면 자신이 받을 수 있는 정확한 보조금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2023-지자체별-전기차-보조금
지자체별 전기차 보조금 지급 범위

이상 2023년 전기차에 지급되는 보조금에 대해 정리해 보았는데요. 전기차 보조금은 지자체의 관련 예산이 소진되는 경우 지급을 중단하기 때문에 자신이 보조금을 받을 지역의 보조금 지급 현황을 확인한 후 보조금을 신청해야 합니다. 각 지자체별 전기차 구매보조금 지급 현황에 대한 통계를 바로 확인해 보시기 바랍니다.

 

☞ 각 지자체별 전기차 구매보조금 지급 현황 바로가기

 

< 함께 보면 좋은 글 >

 

2023 전기차 보조금 신청 지역 및 신청 방법 정리

2023년에도 여전히 전기차 구매에 대한 보조금이 지급되고 있습니다. 전기차 보조금은 국가 보조금과 지자체 보조금을 합쳐서 결정되는데요. 전기차 구매 전에 반드시 확인해야 할 사항이죠. 국

alongwithmoney.tistory.com

 

전기차 충전구역 주차 과태료 부과 기준 및 금액

전기차 보급이 확대됨에 따라 전기차 충전구역을 주차장마다 볼 수 있는데요. 이 전기차 충전구역에 일반 차량을 주차하는 경우 10만 원부터 최대 20만 원까지 과태료가 부과된다는 사실 알고 계

alongwithmoney.tistory.com

댓글